정부가 올해 안에 우리금융 민영화를 마무리 짓겠다는 의지와 다르게 아직까지 매각계획이나 일정이 답보상태에 놓여있다.
진동수 금융위원장도 최근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 “6월에 방침을 결정해 집행될 수 있도록 준비를 하라고 했지만 꽤 오래 걸리는 것 같다”며 “시장에 내놓는 방안 등이 연말까지도 넘어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해 민영화 의지가 한발짝 물러난 모습이다.
외환은행도 대주주인 론스타가 매각의사를 밝히면서 매각 작업에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기대감과는 달리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관심을 보였던 국내 금융사들도 매각가격이 예상보다 높아 인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고, 해외은행에서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안개속을 걷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메가뱅크 불씨를 붙였던 금융당국의 입장 또한 소극적인 태도로 뒤바뀌면서 더욱 미궁속에 빠져들고 있다.
진 위원장은 메가뱅크와 관련해 “제조업과 달리 금융산업은 단기간에 대형화가 쉽지 않다”며 “규모와 경쟁력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면 경쟁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외형확대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국내외 시장 분위기도 재편 움직임에 발목을 잡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최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은행규제를 대폭 강화하는 이른바 ‘볼커룰’이 국내 은행권의 M&A레이스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볼커룰은 상업은행(CB)과 투자은행(IB) 분리를 골자로, 여기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의 시장점유율을 10%로 제한한다는 규제가 포함돼 있다.
여기에 남유럽발 금융위기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동요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상황을 예의주시 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에 글로벌 대형은행을 육성한다는 국내 메가뱅크 구상 자체가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오는 11월 열릴 G20정상회의 중심으로 대형은행 규제 방안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가 전개된 후에나 은행권 재편과정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금융환경이 다시 악화됨에 따라 M&A 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은행재편은 순조롭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