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해 말 현재 15개 국내은행의 중장기재원조달비율은 139.6%로 전년(105.6%) 대비 34.0% 포인트 상승했다.
중장기재원조달비율은 1년 이상 외화조달잔액을 1년 이상 외화대출잔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지난해의 경우 중장기외화대출이 132억4000만달러 감소한 반면, 중장기차입은 91억7000만달러 증가하는 데 그쳐 유동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3년 이상 장기재원의 경우에도 대출은 65억9000만달러 감소한 가운데 차입은 23억4000만달러 늘어났다.
국내은행의 중장기재원조달비율은 리먼사태 직후인 지난 2008년말 105.6%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외화차입 여건이 좋아지면서 상승세로 반전했다.
국내은행이 외화차입시 지불하는 가산금리(1년물)는 지난해 1분기 4.08% 포인트까지 치솟았다가 지난해 4분기 1.17%포인트, 올해 1월 0.67%포인트 등으로 하락하면서 정상을 되찾았다.
금감원은 외화차입 여건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앞으로도 은행들이 중장기차입을 확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불필요한 외화대출을 자제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제금융시장의 급변 위험이 상존해 이에 대비해야 한다”며 “은행 자체적으로도 비상시 조달계획을 점검하고, 보완하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adm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