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 이사회는 31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다음달 7일로 예정됐던 임시주총을 취소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임시주총 연기 여부가 이사회 안건으로 채택된 만큼 연기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기에 임시 주총 연기와 취소가 가능한지에 대한 법적 검토가 이뤄질 예정이어서 회장 선임을 위한 주총이 아예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자리에는 사외이사 9명과 사내이사 2명 등 11명의 이사가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이날 열리는 이사회가 정식 이사회는 아니지만 이사 전원이 찬성하면 이사회로 바뀔 수 있으며 과반수인 6명 이상이 찬성하면 주총이 무산될 수도 있다.
KB금융 이사회는 지난 3일 단독 후보로 나온 강정원 국민은행 행장을 차기 회장 내정자로 추천, 이변이 없는 한 내달 7일로 예정된 주총에서 차기 금융지주 회장으로 선임할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전방의 압박에 주주총회 일주일을 앞두고 결국 걸음을 멈추게 됐다.
이에 따라 KB금융 이사회의 주총 연기 검토는 금융당국의 고강도 조사가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동안 금융감독원은 KB금융 사외이사와 임직원 컴퓨터 등 사상 초유의 고강도 사전검사를 실시하는 등 금융당국이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해왔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총이 연기되거나 취소된다면 강정원 회장 내정자의 입지 약화가 불가피하다”며 “그동안 금융당국이 제기한 문제를 인정하는 모양새가 될 수 있어 간담회 결과가 국민은행 자리까지 내놓게 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에에 대해 금융당국의 은행권 관치금융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우세한 가운데 31일 열리는 긴급이사회의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