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위원장은 이같은 발언은 최근 금융경영인과 학자들의 모임인 서울파이낸셜포럼이 금융경쟁력 강화와 국제금융질서 재편 주도를 위한 민관 합동위원회를 제안한 바 있어 주목된다.
진 위원은 “일종의 자문기구 형식으로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도 참여하는 형태”라며 “단선적인 현안보다 금융의 실물지원 강화, 금융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전략 등을 위해 근본적이고, 중장기적인 정책이슈를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20개국(G20) 등 국제적인 이슈도 검토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방식은 고민중에 있다는 것.
외환시장 제도 개선 TF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서는 “레버리지, 단기차입, 포지션 등 금융회사의 문제를 줄여나가야 한다”며 “이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이냐의 고민은 많은데 쉽지 않다”고 고심을 드러냈다.
그는 이어 “외은지점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는 국제기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것을 봐 가면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공석중인 한국거래소 이사장 선임과 관련 “거래소에 공무원들이 너무 많이 가 있다”며 “공무원들을 위해서라도 공무원 출신이 안 가는 게 바람직한 것 같다”고 개인적 견해를 내비쳤다.
그는 또 국민연금 이사장에 대해서는 “우리와는 관계가 없어 잘 모르겠다”면서도 “전체적인 흐름은 민간에서 가는 것 같은데 고위 관료를 지낸 사람중에는 마땅한 사람도 없는 것 같고, 거물들은 연봉 때문에 안 가려 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진 위원장은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전통적인 부동산 대책이 발동된 게 아직 없다”며 “그런 점에서 여유가 있다고 볼 수 있고, 투기가 살아나면 지구지정 등과 같은 전통적인 대책들이 발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