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노동조합은 지난 28일 ‘경제위기극복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사공동 선언’(이하 노사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우리은행 노사 공동선언에서 △2009년도 관리자급 이하 직원 월급여 5% 반납 △연차휴가 50% 의무 사용 △신입행원 급여 20% 삭감 등을 합의했다.
우리은행의 이번 임금협상은 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으로부터 개별 교섭권을 넘겨 받지 않은 상태이고 특히 신입행원 임금삭감은 그동안 금융노사 협상에서 노조 측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적잖은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은행연합회와 금융노조는 연초부터 20여 차례 공식·비공식 협상을 해왔으나 입장차이를 결국 좁히지 못했다. 이에 신동규 은행연합회장은 지난 2000년 금융노조가 생긴 이후 10년만에 처음으로 협상 결렬을 선언한 바 있다.
금융노조는 다음달 1일 노조 대표자 회의를 통해 향후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었지만 우리은행의 갑작스러운 임금 반납으로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지난 27일 우리은행에서 교섭권을 돌려달라는 연락을 받았지만 교섭권은 내부 대표자 회의를 통해서 진행해야 되는 상황인만큼 시간이 다소 걸린다”며 “그러나 교섭권 요청 하루만에 노사 임금협상 합의는 솔직히 당혹스럽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우리은행이 금융노조로부터 위임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 임금협상을 한 것에 대해서는 내부 절차를 거쳐 책임문제 등 별도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다음주 열리는 대표자 회의에서 남은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금융노조가 참여하는 대각선 교섭 결의를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단 다른 시중은행들은 우리은행과 사정이 다르다는 입장이지만 우리은행의 행보를 무시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은 정부지분이 73%에 달하는 지배구조상 특수한 상황인 만큼 정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며 “다른 은행들은 우리은행과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을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일단 사측이 전 직원 임금 5% 반납과 연차휴가 50% 의무 사용, 신입 행원 임금 20% 삭감 등 방안을 제시해 놓은 상태다.
이미 전 직원 임금 6% 반납을 합의했던 신한은행도 신입 행원 임금 삭감을 놓고 사측과 노조가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