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은행들의 위기상황분석, 비상조달계획 등 유동성리스크 관리 전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유동성리스크 관리 기준’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번 정부가 마련한 유동성 리스크 관리기준의 주요 내용에는 △신상품 승인 시 유동성 관련 비용과 리스크 반영 △스트레스테스트를 반영한 양질의 유동성 확보 △만기분산 목표치 관리로 자금조달 다변화 △누적 현금순유출 등 유동성 리스크 허용한도 관리 △위기상황 대비한 비상조달 계획 수립 등이 포함된다.
금융당국의 이같은 방침은 은행들이 무분별한 대출성장으로 외형확장 경쟁을 벌이면서 유동성 관리에 실패, 결과적으로 이번 금융위기 발생이후 손실흡수 능력이 부족해 금융시장 불안이 지속됐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방침으로 향후 은행들의 대출경쟁이 제한되면서 당분간 안정적 경영전략에 중점을 둘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방안으로 은행들이 지난 2007년처럼 수신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대출을 확대하기가 어렵게 됐다”며 “이에 은행은 대출성장보다는 순이자 마진 확대, 비용 절감 등 보수적이며 안정적인 성장전략으로 경영 전략을 선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창배 현대증권 연구원도 “이번 방안으로 은행들에게는 수익성에 제한이 생겨 다소 불리할 수도 있지만 리스크 관리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자금운용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은행들이 대출로 외형확대가 어려워짐에 따라 향후에는 인수합병(M&A)에 대한 필요성이 이전 보다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주요 대형 은행은 M&A를 통한 성장보다는 적극적인 자산 성장을 통한 외형 성장 전략을 추구해 왔다”며 “성장을 통한 외형 확대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짐에 따라 유일한 외형 확대 전략인 인수합병(M&A)을 통해 대형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