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설문조사는 6월 15일부터 22일까지 일반인 총 3500여명을 대상으로 티맥스 윈도 홈페이지(www.tmaxwindow.co.kr)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OS(PC 운영체제)가 사용될 경우 국가경쟁력 상승, GDP상승, 근로인력 창출 등의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자가 총 3515명 중 99%(3488명),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의 보유여부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자가 97%(3414명)로 국내 자체기술 운영체제 개발 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국가경쟁력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조종‧통제하고 비행기, 핸드폰 등 다양한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가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총 3515명 중 95%(3350명), 99%(3464명)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하드웨어 대비 소프트웨어 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산업의 중요성에 공감하면서도 한국 소프트웨어 기업 중 세계 300대 소프트웨어 기업에 속한 기업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응답자가 총 3515명 중 48%(1678명)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2%(1837명)는 300대 세계소프트웨어 기업에 속한 한국소프트웨어기업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는 국가차원의 육성정책이 총 3239명의 응답자 중 39%(1256명),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22%(708명),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업무환경개선 17%(549명) 등으로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 산업 활성화 방안에 있어서는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한편 오는 7월 7일 국내자체기술개발 운영체제 티맥스 윈도 발표행사를 앞두고 티맥스 윈도 정식출시 시 구매의향이 있는가 하는 질문에는 시장반응을 본 뒤 도입하겠다는 응답자가 전체 3239명의 응답자 중 64%(2058명), 기존OS를 대체해 설치하겠다는 응답자가 25%(798명)로 국내자체기술개발 운영체제 티맥스 윈도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OS의 종류를 묻는 질문에는 총 3239명의 응답자 중 MS윈도 94%(3030명), 맥OS 2%(61명), 리눅스 1%(51명)로 MS윈도 이용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를 실시한 티맥스소프트의 문진일 대표는 “산업전반에 두루 쓰이는 고부가가치산업인 소프트웨어 산업이 차세대 유망산업으로 주목 받으며, 세계적으로 수많은 기업과 국가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라며 “설문조사에 나타나듯 소프트웨어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현재 PC용 운영체제(OS)시장은 마이크로소프트社의 MS-윈도우가 전 세계적으로 210억불, 한국에서는 4,000억원 가량(2008년 기준)의 매출을 달성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 88%, 국내 시장 점유율 98%를 독점하고 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