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포커스] 연체율 상승우려 저축銀 연체율 세밀한 관리 필요](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08122820240491502fnimage_01.jpg&nmt=18)
투명성 위한 상품·업종 구분 등 체계 갖춰야
저축은행의 세밀한 연체율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기관 전체적으로 여신에 대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업권별 채무불이행 비중이 가장 많은 저축은행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 채무불이행 진행고객 비중 업권 중 58%나 차지
한신평정보가 발행하는 ‘KIS 크레딧 트렌드 저널’ 3분기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채무불이행 진행고객의 비중이 금융업권 전체 가운데 57.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용등급 분포도 7등급부터 9등급이 가장 많이 포진해 있어 경기침체 여파가 심화될 경우 대출부실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한국신용정보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NICE 크레딧 인사이트 겨울호에 따르면 30일 이상 미해제 연체 보유율에서도 저축은행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이 수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21.45%였던 30일 이상 미해제 연체보유율은 2분기 21.42%로 감소하는 듯 보였지만 3분기에는 21.47%로 다시 증가하는 수치를 나타냈다. 대부업체가 3분기에 16.07%인 점을 감안해봤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저축은행의 채무불이행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많이 있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철저한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축銀, NPL매입 상품 영향 크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업계는 업무 성격이 다른 상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연체율이 높다는 것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무수익여신성 상품인 NPL(부실채권)매입과 상각처리방식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체 업권에서 저축은행의 연체비중이 높은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타 금융기관에서 무수익여신을 상각처리한 NPL을 매입해 채권추심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상품이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NPL 상품을 매입 했을 경우 이 상품도 연체율에 포함시키기 때문에 연체율이 높다는 주장이다.
◇ 비중 10%이상 높아… 무리한 합리화
하지만 실질적으로 NPL상품의 연체 포함 비중이 타 금융권보다 10%이상 높아질 정도로 크지는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 회계연도에 NPL매입을 통해 20%정도의 수익을 올린 B저축은행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NPL매입을 하기 때문에 연체율은 2~3%수준 밖에 올라가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자기자본에서 위험자산의 비중을 나타내는 BIS비율이 5% 이하로 떨어지거나 고정이하여신이 높게 올라갈 경우 감독당국은 적기시정조치를 취하고 이후 나아지지 않을 경우 정리절차를 밟는다. 이같은 상황에서 NPL상품을 무리하게 연체율에 잡지는 않는다는 것.
B저축은행 관계자는 “NPL 자체는 이미 연체 채권을 싼 값에 사기 때문에 연체율에는 잡지 않는 하나의 상품으로 보면 된다”며 “초기 매입가 대비 회수금액으로 수익을 산정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경기침체로 인한 NPL시장에서 부실채권 회수가 어려워 수익성도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업계 한 전문가는 “부실채권을 연체율로 잡아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높지 않다고 한다고 해도 최근 부실채권의 추심 수익이 10~20%정도 하락하고 있는 등 상황이 좋지 않다”며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실제로 저축은행의 수익성 하락과 연체율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여신·리스크 관리 투명성 떨어져 체계적 분류 필요
한편, 최근의 저축은행의 부동산PF발 부실 루머로 신뢰성이 떨어져 고금리 예금에도 불구하고 수신 증가율이 하락한 것도 투명하지 않은 여신과 리스크 관리에 의한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신용정보사에서 금융기관의 연체율에 대한 정보분석을 할 경우 저축은행만 총체적 정황분석을 한다는 지적이다.
C신용정보사 관계자는 “리스크관리를 전체적으로 잘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저축은행의 정보구조상 상품구분이나 업체구분이 제대로 되지 않는 특징이 있어 리스크관리가 세밀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며 “따라서 전체 맥락을 파악하면서 수준을 맞춰가는 어려움이 있어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다듬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 업권별 30일 이상 미해제 연체 보유율(%) >
(단위 : %, %p)
(자료 : 한국신용정보)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