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최근 외화 거래 현황을 점검한 결과, 개인 18~19명이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환 차익을 노리고 은행을 통해 외화 거래를 한 혐의가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9월 22일부터 한달 동안 1인당 400만 달러 이상을 거래했으며 1억 달러 이상을 매매한 사람도 있었다. 이들의 총 외화 거래 규모는 5억 달러를 웃돌았다.
금감원은 이들을 포함해 1인당 100만 달러 이상을 거래한 90여명의 명단과 거래 내역, 자금 출처 등에 대한 조사를 위해 국세청에 통보했다.
이들의 거래 규모를 볼 때 모두 일반 개인으로 보기 힘들어 기업이 개인 명의로 거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20여명은 한달 사이에 400만 달러 이상을 매매해 환투기 혐의가 짙고 3~4명의 경우 매일 외화를 사고 팔았다”며 “나머지 70여명은 거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지만 국세청이 참고하도록 함께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들의 직업은 확인이 되지 않아 국세청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들의 경우 수출입 대금 결제를 위해 외화 거래를 하는 등 환 투기 혐의가 드러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지난 13일부터 은행에서 일 단위로 기업과 개인의 외환 거래 내역을 보고 받아 점검을 벌였으나 이날부터 중단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일 점검이 외화 거래의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점검을 중단하되 외환시장을 예의주시하며 환 투기세력의 개입 의혹이 있을 때는 재점검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에 하루평균 80억 달러에 이르던 외환 거래량은 최근 20억~30억 달러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