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영 한은 금융경제연구원 과장은 13일 ‘해외 공급충격과 개방경제의 최적 금리준칙’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새케인지안 모형을 이용해 통화당국의 최적 금리준칙을 사회후생 극대화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수입원자재 국제가격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의 최적 금리준칙은 인플레이션과 생산갭을 함께 고려하여 대응하되 인플레이션에 보다 중점을 두는 형태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공급충격의 지속성이 커지거나 불확실성이 확대될수록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는 것이 사회후생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과장은 “공급충격과 함께 세계수요 불확실성이 추가될 경우 최적 금리준칙은 기준시나리오에 비해 생산갭에 대한 반응강도를 높임으로써 국내경기 변동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형태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한편 수입원자재 가격상승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충격반응 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최적 금리준칙을 수행할 경우 공급충격 직후 금리가 상승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이 안정되고 생산, 소비 등 실물부문도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김 과장은 설명했다.
이에 그는 “이러한 분석결과는 해외 공급충격 발생시 충격의 강도, 불확실성 및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판단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