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보험업계와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5일 삼성·대한·교보생명 등 생보 빅3와 삼성·현대·동부·메리츠·제일화재 등 생·손보사에 대한 공정위의 일제 현장조사가 실시됐다.
이번 조사는 공무원 단체보험 공동인수와 관련된 보험사의 담합행위 여부를 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정위의 방문을 받은 보험사들은 ‘혹시나 불똥이 튀지는 않을까’우려했다.
그러나 실제 공정위의 방문이 주마간산식으로 이뤄지면서 이러한 우려는 종식되고 있는 분위기다.
한 생보사 관계자는 “공정위가 현장조사를 나온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일반적인 내용을 묻는 선에서 그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공정위 관계자도 “공정위의 조사 계획과 일정은 발표할 수 없다”면서도 “가격담합의 경우 비슷한 시기에 올렸다고 무조건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며, 단합에 대한 제보 등을 받으면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공정위의 조사가 우려와는 달리 일반적인 현장조사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지만 보험업계는 공정위가 좀더 신중하게 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 손보업계 관계자는 “자동차보험의 경우 과거 보험료의 인상폭이 비슷하다며 공정위가 단합여부를 조사한 사례가 종종 있다”며 “하지만 자동차보험료 인상폭이 비슷한 것은 단합이 아니라 보험사들간의 가격경쟁에서 발생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격 자율화가 시행됐다고 하지만 무턱대고 필요한 만큼 보험료를 올렸다가는 고객이탈현상이 벌어지기 쉽다”며 “결국 서로 막판까지 눈치를 보며 비슷한 선에서 보험료를 책정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