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객관성, 독립성, 일관성, 투명성, 신뢰성 등 신용평가사 본연의 가치제고를 위한 작업들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는 구체적인 ECAI 지정요건들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금감원과 신용평가사들로 구성된 TF팀의 ECAI 지정요건 잠정안을 참고로 예비지정을 준비하겠다는 속뜻이 숨어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2월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의 신용평가사 기본행동규범에 부합하는 한국기업평가 행동규범(KR Code of Conduct)를 제정 공표하며 신용평가기관의 공정성, 독립성, 투명성 등 핵심가치 제고에 앞장섰다.
또한 신용평가사업의 독립성 강화를 위해 마케팅조직과 신용평가조직을 분리하는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ECAI 지정을 준비하는 한국신용평가와 한국신용정보의 움직임도 한국기업평가와 별반 다르지 않다.
한국신용평가는 이미 지난해 자체 행동규범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조직개편을 통해 신용평가업 가치제고에 주력하고 있으며, 한국신용정보도 조직개편에 이어 조만간 행동규범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국내 신용평가사들이 ECAI 지정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며 뛰어드는 것은 ECAI지정 여부가 향후 평가시장에서의 위상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용평가시장의 진입장벽이 완화되면서 S&P 등 해외 신용평가사들의 진출에 앞서 미리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도 숨어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표면적으로 ECAI 지정에서 떨어진다고 해도 신용평가사 입장에서는 향후 바젤Ⅱ시행시 새로운 신시장 진입이 차단돼 추가적인 수익창출이 어려운 정도지 본연의 업무수행에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다만 문제는 ECAI 지정 여부에 따라 신용평가사의 근본적 수익기반인 명성자산 평가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즉 현실적으로 ECAI 미지정시 당장의 타격은 없을지라도 향후 경쟁에서 도태할 수 있다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우려감 때문에 신용평가사들이 ECAI지정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ECAI 지정으로 인한 수익창출 효과에 대해서는 3사 모두가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미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ECAI의 신용평가대신 자체 평가가 가능한 내부등급법(IRB) 승인을 위해 노력중이고, ECAI로부터 신용등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방은행들도 2010년까지는 IRB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