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우리, 신한·조흥, 기업은행 등이 올해 기존 재해복구시스템에서 확대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에 있다. 또 외환은행, 농협 등도 기존 재해복구시스템 이외에 BCP(업무연속성계획)를 수립할 방침이다.
◇ 은행권 DR범위 확대 = 올해 은행권은 전자금융거래법이 시행될 것에 대비해 고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핵심업무 위주로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전자금융거래법이 시행되면 은행은 고객의 잘못을 입증하지 못하는 전자금융거래 사고에 대해서는 무조건 은행이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재난, 재해, 장애 등으로 인한 피해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재해복구시스템 강화에 나서는 것이다.
또 이와 함께 바젤Ⅱ 운영리스크 규제 준수를 위해서도 기존 시스템을 강화해 나가야 할 상황이다.
신한·조흥은행은 은행 통합에 따라 기존에 각기 운영 중에 있던 재해복구시스템을 통합 운영하기 위해 통합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 구축에 앞서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현대정보기술, 한국IBM, KT 등이 제안을 한 상태이고 사업자 선정은 이번 주 중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신한·조흥은행은 사업자가 선정되면 바로 컨설팅을 시작해 2~3개월 동안 컨설팅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 컨설팅 결과가 도출되면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장소, 범위 등이 결정될 전망이다.
국민은행도 올해 내로 BCP기반의 재해복구시스템 확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민은행은 현재 계정계와 일부 정보계에 대해서만 재해복구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상태다. 따라서 고객관련 업무인 CRM(고객관계관리), 인터넷뱅킹 등 핵심업무에 대해 우선적으로 재해복구시스템 확대 작업을 진행하고 향후 BCP 수립에 따른 전체적인 재해복구시스템을 갖춰나간다는 전략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아직 프로젝트 일정은 잡혀 있지 않지만 가능한 이른 시일 내에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도 기존에 계정계 부분에 한해 이뤄진 재해복구시스템을 타행환, 금융공동망 등의 대외계와 카드 부분으로 확대해 시스템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3월경 RFP(제안요청서)를 관련업계에 발송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대외계, 카드 부분의 재해복구시스템을 갖춘 후 3단계로 정보계에 대한 재해복구시스템을 갖출 방침이다.
최근 전산센터를 본점에서 용인 수지로 이전한 기업은행도 올해 본점에 자체 재해복구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현재는 차세대시스템 가동 이후 한국IBM 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본점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오는 3월 이후에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해 5월에 완료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IBM이 진행하기로 계약이 완료된 상태다.
◇ BCP 수립 적극 나서 = 은행권은 올해 BCP 수립도 적극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재해, 재난 등의 비상사태시 전산 뿐 아니라 업무 등도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체계를 갖추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올해 한국은행은 한은공동망 등을 비롯해 은행권의 BCP 수립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금융정보화촉진시행계획을 통해 밝힌 바 있다.
현재 BCP 수립을 검토 중인 은행은 농협, 외환, 국민은행 등이다.
농협은 지난 9월 BCP 수립 컨설팅 사업자로 유니시스를 선정, 수행 중에 있다. 농협은 BCP 수립을 통해 오는 6월부터 가동에 들어갈 예정인 안성 제2전산센터 운영이 이뤄질 계획이다. BCP 컨설팅의 주요 내용은 △업무연속성 계획 수립 △안성 제2전산센터 운영방안 수립 △재해·재난시 백업시스템 구축 계획 등이다.
외환은행도 바젤Ⅱ 운영리스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BCP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인 운영리스크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는 3월부터 BCP 수립 프로젝트가 시작될 전망이다.
국민은행도 재해복구시스템 확대 프로젝트와 함께 BCP를 수립, 병행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