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 등 국내 양대 보증기관은 정부의 중소기업 종합대책에 맞춰 협약보증운용기간 연장, 신용평가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중소기업을 적극 지원키로 결정했다.
신용보증기금은 중소기업 보증강화의 일환으로 지난 6월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던 ‘원자재난 긴급자금 협약보증’ 제도를 오는 12월까지 6개월 연장한다고 밝혔다.
또한 외환·조흥은행과 추가로 협약을 체결(협약금액 각 1000억원)함으로써 협약은행을 기존 10개은행(기업, 부산, 대구, 광주, 우리, 국민, 신한, 경남, 하나, 한미)에서 12개 은행으로 확대했다.
신보 관계자는 “지난 6월말까지 2200여개 중소기업에 약 3600억원의 원자재난 협약보증을 지원했다”며 “올 연말까지 총 1조원을 지워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적극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술신용보증기금도 중소기업의 부실위험 예측력 제고와 신용평가의 객관화를 위해 한신평정보와 공동으로 개발한 새로운 신용평가시스템을 12일부터 실무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동안 고액보증에만 적용하던 신용평가시스템을 5000만원 이하 소액보증을 제외한 모든 보증심사에 확대적용하고, 신용등급을 7단계에서 10단계로 세분화해 보증한도와 보증료율을 차등적용할 예정이다.
최근 사고율 증가와 벤처 CBO보증의 부실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술신보는 새로운 신용평가시스템이 보증사고를 대폭 축소하는 한편 기금재산의 건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술신보 관계자는 “국내최초로 효율성 평가기법인 DEA(자료포괄분석)모형을 활용해 평가기업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비재무 요소의 신용평가에 도입했다”며 “이는 신용평가 기법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것 ”이라고 설명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