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내수경기의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그 실효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이 6월말 회기결산을 앞두고 대손충당금 부담 감소, 순익증가 등 결산손익관리 차원에서 부실채권 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몇몇 저축은행들은 위험가중자산으로 분류돼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규대출을 전면 중단하고 기존 대출에 대해 대대적인 회수조치를 취하고 있다.
서울소재 한 저축은행은 오는 6월 결산을 위해 지난 4월부터 부실채권 회수 캠페인을 시작했다.
결산캠페인이 시작됨에 따라 부실채권 회수를 담당하는 소액채권 회수팀외에도 콜센터, 일반 지점 직원들까지 전사적으로 부실채권회수에 나서고 있다.
이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 두달동안 전직원이 토요일은 물론 일요일에도 출근해 연체독촉과 연체자 방문을 하는 등 부실채권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는 결산을 앞두고 순익증대차원에서 시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저축은행들은 부실채권회수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내수경기의 침체로 소액신용대출의 연체율이 나날이 상승하고 있어 캠페인을 통한 성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 저축은행들은 미수이자 회수, 연체계좌 독촉 등 기본적인 업무만을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저축은행들은 소액신용대출 부실이후 부실채권회수에 지속적으로 노력해온 상황에서 서민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이상 일시적인 캠페인은 효과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담당부서에서는 지속적으로 부실채권회수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부실채권회수를 위해 전사적인 캠페인은 시행하고 있지 않다”며 “사회적 분위기가 바뀌어야지 연체독촉 효과도 볼수 있지 지금같은 상황에서는 직원들에게 추가적인 심적 부담만 주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금의 부실채권회수는 담당자가 얼마만큼 노력했느냐에 따라 실적이 변하는 시기는 지났다”며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이상은 큰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실제로 저축은행들은 부실채권회수 노력에도 불구하고 300만원 이하 소액 신용대출연체율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4월말 현재 소액 신용대출연체율은 54.8%(1조2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축은행 총여신 25조7800억원의 8.6%에 달하는 규모로 서민 가계의 자금난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저축은행 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말 발생한 카드대란의 여파가 아직까지 남아있는 상황이다. 경기침체로 서민 생활고가 가중되면서 회원사들이 여신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