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증권 인수의향서 제출 마감일인 2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측은 "대만계 금융 회사 등 외국계 투자자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며 외국계의 인수가능성을 내비쳤다.
국내 금융회사들이 소극적인 입장을 보일 경우 서울증권 한누리 처럼 외국계에 매각할수도 있다는 것이다.
산은은 "비밀보장"계약에 따라 대상 업체들의 이름을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증권가는 이날 인수의사를 밝힌 우리금융지주의 행보에 보다 큰 무게를 두고있다.
외국계 금융회사의 경우 지점에 의존하는 영업에 부정적 입장을 갖고있는데다 국내의 경우도 가장 유력한 인수후보로 꼽혀온 하나은행과 국민은행이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LG증권의 매각대상 지분이 21.2%에 불과한데다 인수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판단해 인수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이 매각하는 지분 21.2% 만으로는 경영권을 충분히 행사할 수 없기 때 문에 추가로 시장에서 사야하는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도 "한투증권이나 대투증권을 인수할 예정이어서 LG투자증권에 는 관심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반면 우리금융 관계자는 "한국투자증권과 대한투자증권,그리고 LG투자증권 중 하나를 인수하겠다는 게 그룹의 공식입장"이라며 "셋 중 어디를 선택할지는 아 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단 LG투자증권에 대한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금융가는 매가가격 산정 등에서 다소 진통을 겪겠지만 우리금융의 인 수가능성을 가장 높게 보고 있다.
황영기닫기

금융계 한 관계자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기업을 주채권은행으로 갖고 있는 우 리은행과 IB업무 역량이 뛰어난 LG투자증권이 합병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클 것 "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정부도 소매(소비자)금융 위주로 재편돼 있는 국내 은행산업의 균형발전 을 위해 대규모 투자은행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매각가격이 시장가보다 너무 높아 우리금융의 LG증권과정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산은은 LG투자증권 지분 21.2%를 팔아 3천5백억원의 매각이익을 남기겠다는 계 획이다.
이 경우 주당 매각가격이 2만1천4백원수준으로 현 주가(1만3백50원)의 2배수준 에 달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협상과정에서 매각가격이 변경되지 않으면 실제 매각 이 성사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