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저축은행이 그동안의 침체기를 마치고 서민금융의 젖줄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경영정상화 노력과 서민들을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 및 서비스 제공으로 저축은행을 찾는 고객들의 발걸음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활성화를 위해선 관련법 개정 및 자구노력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저축은행은 지난 97년말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구조조정으로 한때 침체기를 겪어왔다.
그러나 지난 2001년부터 시행된 예금보장한도와 자생노력으로 이제는 서민금융의 한축을 담당할 정도로 경영 정상궤도에 진입했다.
특히 2002년 상호저축은행으로 상호변경이 이뤄지면서 소비자들의 저축은행에 대한 이미지가 향상됐다.
이러한 외적 변화와 더불어 경영건전성 확보, 수익성 제고, 우수인력 확보 및 인재양성 등 저축은행업계의 피나는 노력으로 지난해 총자산 30조원을 회복했다.
저축은행들은 경영정상화에 따라 틈새시장 공략 등 창의적인 전략으로 그 위상을 정립해 나가고 있다.
시중은행의 초저금리와 가계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저축은행들은 이미 유용한 재테크 및 대출 창구의 역할을 톡톡히 하며 지역사회 금융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배드뱅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신용불량자 문제 해결과 같은 금융기관으로서의 공적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저축은행이 진정한 서민금융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선 정부의 차별화된 지원 정책이 필수적이다.
배드뱅크의 경우 현안대로 시행될 경우 자산규모가 은행이나 카드사에 비해 영세한 저축은행은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18일 ‘배드뱅크설립을 통한 신용불량자회복프로그램 설명회’에서 이같은 상황을 설명했다.
또한 저축은행의 현실상 배드뱅크 출자지분 평가를 유보해줄 것을 건의했다. 그러나 당초 입장대로 배드뱅크 참여에는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한편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시중 금융사들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지점설치 기준 폐지, 자산규모별 감독방안, 유가증권 투자허용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제도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급변하는 금융환경속에서 타 금융기관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경영투명성 확보, 체계화된 시스템 정착 및 수익구조 개선 등 자체적인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에 비해 영세한 저축은행이 발전하기 위해선 차등적인 규제 및 지원이 필요하다”며 “업계에서도 정부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있다”고 말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