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주 재정경제부 차관보는 18일 조흥은행 노조의 불법 파업에 대해 조흥은행 경영진과 금융 감독 당국이 판단, 공권력 투입 여부와 시기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흥은행 매각 일정은.
-매각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지만 확정된 것은 아니다. 최종안이 마련되면 공자위 전체회의에 상정할 것이다. 지난 1월 공자위 소위에 매각안을 상정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소위 심의 절차를 생략하고 곧바로 전체회의에 상정할 계획이다.
▲공권력 투입 여부는.
-분명한 불법 파업이다. 상황 전개에 따라 조흥은행 경영진과 금융 감독 당국이 공권력 투입 여부와 시기를 판단할 것이다.
▲파업 일정이 앞당겨졌는데 정부 대책은.
-파업은 이미 예고돼 있었다. 조흥은행 매각 절차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조측에서 일정을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 전산센터에 필요 대체인력이 투입돼 있고 고객 보호 대책도 마련돼 있다. 큰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철저히 점검할 것이다.
▲헐값 매각 시비에 대해서는.
-가격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사후 손실 보전을 어느 정도로 해줄 지가 관건이다. 예민한 부분이며 사전에 가격이 유출될 경우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협상을 통한 타협 가능성은.
-원만한 타결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지만 매각이라는 대원칙을 허물 수는 없다.
▲조흥은행 예금 인출 사태 가능성은.
-그런 일은 없을 것으로 본다. 고객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조흥은행 노조도 파업을 지속할 경우 고객 이탈 등 자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여론도 조흥은행 노조에 그렇게 호의적이지 않지 않은가.
한편 김경호 공자위 사무국장은 공자위 전체회의를 최대한 빨리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체회의는 빠르면 20일 열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 국장은 매각 가격과 관련해 SK글로벌 채권과 카드채 문제로 다소 견해 차이가 있으며 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실제 손실을 감안해서 사후 보전을 요구할 수 있는 최대 한도를 설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이를 감안하면 그만큼 값이 깎이겠지만 정부는 투입된 공적자금 이상을 보장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계에 따르면 협상 당사자인 신한지주와 예금보험공사는 주당 인수가격을 종전의 6천150원보다 50원 가량 많은 6천200원선으로 하되 사후 손실 보전을 대폭 확대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사후 손실 보전 규모가 최소 7천억∼8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조흥은행 노조는 "조흥은행 전체 매각 가치는 3조원선이지만 사후 손실 보전 확대를 감안하면 2조원 초반대"라며 "이는 명백한 헐값 매각"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