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총외채중 단기외채의 비중이 다시 40%선을 넘어서고 총대외채무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9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3월말 총대외지불부담현황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총대외지불부담액(총외채)은 1370억달러로 지난해 연말에 비해 60억달러, 2월말에 비해 26억달러가 늘어났다.
이중 단기외채는 557억달러로 총외채의 40.7%를 차지해 1월(38.3%), 2월(39.3%)에 이어 3개월째 상승했다.
단기외채 비중이 40%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10월(40.5%) 이후 5개월만에 처음이다.
3월말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도 45%로 지난해 말에 비해 4%포인트나 높아졌다.
또 외환보유액 대비 유동외채(단기외채포함 1년이내 갚아야 하는 외채)비율은 56.3 %로 같은 기간 3.4%포인트나 높아지는 등 단기 및 유동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기외채증가분 32억달러중 외국은행 국내지점과 국내금융기관의 증가액이 각각 19억달러와 11억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재경부 관계자는 “이라크전과 북한 핵문제관련 국가위험부각, SK글로벌 사태 등으로 중장기 차입여건이 나빠지면서 금융기관이 유동성확보를 위해 단기자금차입을 늘린 데 따른 것”이라며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와 유동외채비율이 안정기준인 각각 60%, 100%에 아직 크게 못미치기 때문에 안정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외채권은 1880억달러로 전월대비 6억달러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대외순채권규모도 510억달러로 전월대비 32억달러나 줄어들었다.
김영수 기자 ky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