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의 배경
백운철 사장이 중도 하차한다는 얘기는 은행에서 이주훈 부사장을 지목하고 지난 3월 31일 부사장으로 선임하면서부터 비롯됐다.
외환은행의 입장은 이번 인사를 통해 대외적인 명분을 찾겠다는 게 은행 관계자의 말이다.
외환은행 고위 관계자는 “최근 카드사의 어려워진 상황에 대해 책임을 묻고 비전문가가 아닌 전문가를 외환카드에 새롭게 투입한 것”이라며 “전체적인 경영혁신을 이루기 위해 외부에서 전문가를 영입한 후 구조조정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주훈 신임 부사장은 삼성생명, 삼성카드에서 영업을 담당했으며 이주석 서울지방국세청장의 친동생이다. 외환은행은 사건이 불거지자 이주훈 부사장의 사장 선임을 미룬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서울지방국세청장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강원 행장은 서울지방국세청장을 직접 알지 못한다”며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알게됐다”라고 노조의 주장을 부인했다.
외환카드 노조에서는 현재 카드사 유동성 위기를 반영할 때 재무전문가가 절실한데 반해, 신임 부사장이 주로 영업경력이 많은 것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 이주훈 부사장 연봉 계산
외환은행은 지난 3월 31일 외환카드 이사회에서 신임 이주훈 부사장의 보수를 2년간 21억원과 4만주의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안건을 상정했다.
이주훈 부사장의 급여를 계산해보면 계약과 동시에 받는 금액이 3억원, 1년간 연봉 3억 6000만원, 첫해에는 성과급 100%를 지급받는다. 즉, 취임 첫해에 총 받는 연봉은 10억 2000만원이다.
다음해에는 연봉 3억 6000만원에 성과급 200%로 7억 2000만원이 지급된다. 즉, 이해에 받는 보수는 10억 8000만원이다.
이에 2년간 받는 보수가 총 21억원이며 외환카드 주식을 한주당 만원으로 가정할 경우 4만주의 스톡옵션을 받으면 총 금액은 25억원에 이른다.
한편 외환은행에서는 이주훈 부사장의 보수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자 성과급 총 300%를 제외하고 추가로 스톡옵션을 6만주 지급하는 방안을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즉, 외환은행은 성과급 300%를 뺀 계약금 3억원과 연봉 3억 6000만원 그리고 4만주의 스톡옵션외에 6만주의 스톡옵션을 더 지급하고 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일시불로 2억원을 준다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참고로 외환카드 사장의 연봉은 1억 5000만원, 감사는 1억 3000만원이다.
이에 대해 외환은행 관계자는 “계약금과 동시에 받는 3억원은 기존 회사에서 받는 이익을 포기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것이며 성과급 지급 여부도 업계 주식 평균 상승률을 초과시 지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외환카드 노조 관계자는 “지난 3월 31일 심의 의결된 안건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 약정서 및 경영혁신 T/F팀
이번 이사회에서는 이러한 안건외에도 외환카드사와 외환은행간의 MOU체결을 요구하는 약정서가 상정돼 있다.
이 약정서는 이미 외환카드와 외환은행 임원간의 MOU체결이 돼 있는 상황에서 궁극적으로 카드사의 업무계획과 경영상황을 은행에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한편 경영혁신 T/F팀이라는 새로운 팀의 구성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외환은행 이달용 부행장이 지목한 인물이 팀장이 되고 이주훈 부사장 직할 팀이다.
이 팀이 맡는 일은 조직관리, 인사(연봉 및 성과급 제도 도입)와 같은 경영전반 내용이 포함된다.
현재 이 팀은 천창영 팀장이 맡고 있으며 9명의 직원이 발령이 난 상태로 이들 9명은 모두 노동조합 간부로 임명하고 간부 수련회 및 간부 회의를 진행하는 상황이다.
외환카드 부점장들은 이 같은 T/F팀을 해체하고 약정서 및 낙하산 인사를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외환카드 노조 관계자는 “이 팀은 외환카드를 마치 외환은행 밑의 한 부서로 만들려는 것과 같다”며 “세세한 것까지 협의 및 보고,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 외환카드 노조의 행보
외환카드 노조는 이사회를 끝까지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외환카드 노조 관계자는 “외환카드 직원의 임금을 반납하더라도 100억원인것에 비해 부사장의 보수 수준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이미 지점 폐쇄에 대해서도 지점 및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서도 대주주가 지나치게 간섭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