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지수선물 이관을 둘러싼 이해관계자간 줄다리기가 한층 가열될 조짐이다.
7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정부, 증권업계에 따르면 인수위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대로 KOSPI200 지수선물을 부산의 선물거래소로 이관하되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을 단일법인으로 통합하는 대신, 지주회사를 통한 느슨한 방식으로 통합하는 것을 유력한 방안으로 검토하고 있다.
인수위측은 "이미 통합방향으로 정책이 진행중으로 현재 전문가를 수배중"이라면서 사실상 정부계획에 큰 문제가 없는 한 추인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정부는 과거 선물거래제도 도입시 일본식의 현-선물 분리원칙을 따랐으나 금융상품거래의 전산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막대한 투자를 감당하고 거래비용을 줄인다는 명분하에 현-선물거래소간 통합을 추진중이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이해당사자와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자 지주회사를 설립해 공통부분을 통합한 뒤 거래 자체는 지주회사의 계열사인 3개 증권시장이 나눠맡는 느슨한 형태의 통합을 `고육지책`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정부가 주가지수선물 거래시스템으로 선물거래소 시스템 대신 증권거래소 시스템을 사용하려는 계획을 제시하자 부산지역에서는 선물거래소의 독자적 시스템을 사용할 것과 함께 통합에는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인수위는 일단 "정부에 맡긴다"는 원칙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인수위는 이미 지난 주 정부의 실무관계자는 물론, 증권거래소와 선물거래소 노조 관계자들을 불러 의견을 들은데 이어 6일에는 부산시 관계자와 증권거래소 관계자들을 불러 양측의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지수선물문제는 이관시기가 2004년 1월로 당선자의 주요 관심사항인 만큼 인수위가 이 문제에 대해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장호 기자 codablu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