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은 4개의 대형은행 내지는 1개 정도가 추가되는 선에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국민은행, 우리·신한금융지주회사, 하나은행 등 기존에 합병과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일정 규모를 달성한 은행과 다른 독자생존 은행이 추가 합병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지난 11일, 본지 부설 금융연구소(소장 황인천)가 서강대 김병주닫기

<관련 기사 2~3면>
이날 대담을 통해 은행권의 구조조정은 은행이 4개 안팎으로 재편되는 시점에서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날 좌담회에서 김교수는 “그동안 부실정리 차원에서 시작된 은행합병은 일단 성공적”이라고 평가를 내리고 “4개 안팎으로 은행이 재편될 때까지 은행 합병은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도 “국내 은행의 경우 4~5개의 대형은행이 비슷한 전략 및 상품을 가지고 시장에서 각축하는 형태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독자생존 전략을 고수하고 있는 은행들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합병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이라는 게 김교수와 김위원의 공통된 주장이다.
특히 김위원은 “이들 은행의 경우 틈새시장을 발굴한다는 입장이지만 국내 금융시장의 경우에는 사실상 틈새시장이 없는 것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독자생존은행은 물론 기존의 합병은행이 포함되는 대규모 은행 합병이 이뤄지고 은행이 4개 안팎으로 재편된 이후에나 국내 은행산업은 안정권에 접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 영업력이 위축되지 않는 것이 합병의 성공 관건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합병의 과정에서 고객이 이탈한다면 굳이 합병을 추진할 필요가 없다는 것. 이러한 차원에서 김교수는 기업은행이 가장 매력적인 합병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정부의 조흥은행 지분 매각 등과 관련해 “앞으로 추진될 정부지분 매각에 있어서 여러 논란이 있겠지만 정부지분 해소를 통해 관치금융의 청산이라고 하는 밑그림 차원에서 바라볼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합병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과 퇴직 예정자, 그리고 퇴직직원을 위한 전직지원제도(Outp lacement)도 중요한 과제로 지적됐다. 그리고 우수한 퇴직직원을 엄선해 특화된 분야에 재채용하는 제도 및 기업연금제도를 조기에 도입해 퇴직 이후의 은행 성과와 연결시켜 지급받게 하는 등의 대안이 제시됐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