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자행의 특화·전문사업을 강조하며 외형성장 보다는 조직의 내실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치열해지는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천편일률적일 부서배치와 규모의 확대를 지양하고 확실한 경쟁력을 갖춘 사업을 전행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올해 은행들의 조직개편과 인사이동이 이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고참 직원들은 후선에 배치했으며 은행의 전략 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조흥은행은 상품본부 신설과 IT부문을 전담하는 운영지원본부 부본부장제도 도입을 골자로 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상품운영부는 신상품 개발 및 상품전략 강화와 금융상품선발이익보호제도에 대응해 은행의 상품을 보호하게 되며 상품운영부, e-금융부, 카드사업부, PB사업부, 신탁업무부, 신탁운영실 등으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IT부문을 전담하는 운영지원본부 부본부장제도를 도입했는데 IT부문의 경쟁력 향상과 장기 발전전략 수립을 위해 CIO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외환은행은 전략사업본부의 신설을 계기로 외환사업에 대한 특화전략을 강화할 전망이다.
외환은행은 e비즈니스 사업부와 외환 사업부를 통합한 전략사업본부를 신설했고 국제금융 및 외국환 관련 거래를 e비즈니스와 연계해 은행 특화 사업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외환업무는 외환은행이 수수료 수익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사업”이라며 “은행이 가장 잘하는 사업을 특화,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빛은행은 마케팅 채널조직 강화, 정보 및 고객신용 관리 역할 제고, 전략개발 기능을 강화할 목적으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핵심사업 부문을 4개의 단(團)으로 묶어 업무의 집중도를 높이고 실적을 단기간내에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종합금융단’을 기업금융고객본부에 신설했고 ‘영업지원단’을 통해 현장중심의 영업지원 활동을 강화키로 했다.
또한 기업금융고객본부에 ‘기업금융단’을, 그리고 ‘전략기획단’을 신설했다.
신한은행의 조직개편은 은행이 지주회사의 중심에서, 컨트럴타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금융지주회사의 기본 전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을 시행한다는 것이다.
특히 신한은행은 지주회사의 중심에서 다른 자회사와의 조율과 사업진행의 컨트롤타워로써의 역할에 비중을 둔다는 방침이다.
신한은행은 먼저 전산정보부를 IT본부로 승격시키고 3개 팀을 신설하는 등 전산 조직을 개편했다. 자회사 업무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IT업무의 전문화 내지 특화는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한편 은행들은 이 과정에서 젊은 직원들을 전진배치시켰다. 외환은행은 이번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47년생 상당수와 48년생 일부를 업무추진역이나 조사역 등 후선으로 배치했다. 한빛은행도 실적이 부진한 40여명의 팀장과 지점장들을 조사역으로 발령하고 40대 중반의 신진인력 50명을 영업점에 전진 배치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