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이 신용카드 연체관리에 사활을 걸었다. 국민은행은 영업본부에 속해있던 ACS를 카드사업본부 소속으로 전환했고 카드 발급 심사를 전담하는 전문심사센터를 발족했다.
국민은행이 이처럼 연체관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선 것은 오는 3월부터 옛 주택, 국민은행의 1100여개 영업점을 통한 신용카드 교차판매가 본격화되기 때문이다.
7일 은행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신용카드 연체관리를 위해 지난 1일 은행 영업본부에 속해있던 ACS(Auto Calling System)를 카드사업본부로 전환했고 지난 4일에는 전문모집인이 받아오는 신청서만을 심사하는 심사센터를 발족했다.
ACS는 카드회원이 연체했을 경우 자동으로 그 회원에게 전화를 연결, 연체금 상환을 종용하는 시스템으로 T/M과 함께 콜센터 아웃바운드 업무에 속한다.
이번에 ACS가 카드사업본부 소속으로 전환되면서 여기에 속한 80명은 카드채권추심만 담당하게 됐다. 기존에 이들은 은행의 주택, 신탁 등의 일반대출 관련 채권추심업무를 겸했으나 올해부터는 카드사업본부에 속해 카드채권만 관리하게 되는 것.
이에 따라 은행의 대출 관련 채권관리는 400여명 규모의 후선센터에서 맡게 된다.
더불어 국민은행은 오는10일 채권추심인원 60명을 증원할 방침이며 조만간 전문심사인원도 대폭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 연체관리에도 역량을 쏟는다는 방침 아래 대구, 광주, 대구, 부산 등 4~5개 전국 주요 도시에 연체관리본부를 설립할 예정이다.
국민은행이 올초부터 카드 연체관리에 무게중심을 두는 것은 영업활성화에 대비한 리스크 최소화차원이다.
오는 3월 옛 주택, 국민은행의 영업본부가 정식으로 통합 국민은행 소속으로 바뀌면 신용카드 교차판매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카드 모집이 급격히 증가해도 연체관리 시스템이 취약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판단에서 최근 연체 관리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전지선 기자 fnz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