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업계가 올 상반기 국책 연구기관으로부터 총체적인 경영 진단을 받는다. 이번 진단결과는 체계적인 업계 상황 파악을 위한 것으로, 對 정부 건의를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벤처캐피탈협회(회장 김영준)가 올 상반기 중 업계 현안문제 파악을 위해 국책연구소에 경영 컨설팅을 의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중 실무작업에 들어가 빠르면 오는 6월경 마무리 되며 향후 정부, 국회, 언론, 연구소 등의 정책 대안 자료가 될 예정이다. 현재 용역기관으로 KDI(한국개발연구원)와 금융연구원등 국책 연구소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번 컨설팅은 국내외 벤처캐피털 제도등의 현황 파악, 제도 개선에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벤처캐피털들의 자금회수와 관련해 코스닥시장 운영규정과 중소기업창업지원법 및 신기술금융업법 등의 개정을 위한 기본 자료를 만든다는 것.
이를 위해 컨설팅은 개별 벤처캐피털의 투자패턴 분석과 자금회수 기간 등 직접적인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집중된다. 업체별 실사는 한국기술투자, KTB네트워크 등 대형사들 중심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컨설팅 결과는 로크업제도 개선과 임직원 투자제한 규제 완화등 현안해결을 위해 규제개혁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등 對정부 건의를 위한 기본 자료로 쓰일 방침이다.
업계 위상 강화를 위해 관련 정책결정에 벤처캐피털 대표가 참여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코스닥시장 개선을 위한 홍보전략 수립도 추진하게 된다.
국내 벤처산업의 총 투자 규모나 현황 등 체계적인 통계자료를 산출하는 것도 중요한 목적중 하나이다. 이는 기존 벤처캐피털들의 정보공유 기피현상 등 폐쇄적인 분위기를 쇄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협회관계자는 전했다. 최근 해외자금 유치를 위해 체계적인 자료를 요구받고 있는 업체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벤처캐피탈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제도 개선이나 정부 건의 등에서 벤처캐피털이 타금융업에 비해 힘이 약했던 게 사실”이라며 “이번 사업으로 폐쇄적이었던 벤처캐피털업계의 중지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