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금융업자들의 폐해가 벤처캐피털이나 건전한 컨설팅사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해 유사금융업자들이 고수익 벤처투자를 미끼로 제시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극에 달한 가운데 테헤란로 곳곳에서는 투자자들의 농성이 이어져 이름까지 유사한 테헤란로 벤처캐피털들이 함께 덤터기를 쓰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유사금융업자의 불법행위 적발건수가 총510건(검거 1596명, 구속 393명, 불구속 1203명)에 달했다. 지난 1월에는 오락기 판매를 가장한 신종 유사수신행위 업체인 한신21의 대표이사 윤모씨 등 총 30명이 검거됐다.
최근 서초 경찰서도 투자자들에게 년36%의 이자와 벤처기업 주식 배당등을 미끼로 1500여명의 투자자로부터 1358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힌 P&C컨설팅 임직원 24명을 검거후 7명을 구속했다. 특히 이회사는 지난해 1월 한길인베스트밸류라는 회사를 시작으로 리빙벤처트러스트, IMI컨설팅 등 사명을 4번이나 바꿔가며 투자자를 현혹시켜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유사수신업체들이 테헤란로를 중심으로한 강남지역에 밀집돼 있고 벤처캐피털로 오인할 수 있는 외국어 상호를 사용함에 따라 피해자들은 벤처캐피털까지 곱지 않은 시각으로 보고있다.
지난주에는 피라미드식 불법 벤처투자 방식으로 3000억원이 넘는 피해를 입힌 리빙벤처트러스트의 피해자들이 건물을 점거, 농성을 벌였다. 관련자들의 검거로 피해액을 보상받을 길이 없게 된 피해자들이 건물관리사무소의 사무실 철거에 반대하는 이유였다.
이건물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한 벤처캐피털 임원은 “혹시 투자자들이 오해할수 있는 소지가 있는 만큼 되도록이면 빨리 농성이 마무리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근 조합결성등 자금확보가 급한 만큼 간접적인 이미지 관리가 중요하고 피해가 확산될수록 투자활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사무실이 강남지역에 몰려 있는 벤처캐피털들의 경우 신경을 안쓸 수가 없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유사수신행위로 피해를 입으면 보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관련기관들의 원활한 공조체제가 중요하다”고 지적하면서 “벤처투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지속적인 계도와 건전한 투자문화를 형성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한결같이 지적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