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업계 구도가 변하고 있다. 조합결성, 투자자금회수 양극화와 투자업체 IPO의 편중 현상이 뚜렷해 지면서 기존 몇 개사의 독주 체제에서 ‘다강다약’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벤처투자 특성상 도산이 곧 법적청산에 의한 부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이로인해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중단한 업체들의 투자위축이 곧 옥석구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벤처캐피털 업계에 투자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신생벤처캐피털들 중 대부분이 신규자금을 끌어오지 못해 사실상 투자를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생창투사 한 임원은 “100억원의 자본금 중 투자자금을 제외하고 은행 예금, 유가 증권 등에 투자한 자금으로 겨우 회사를 꾸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148개 창투사중 지난달 조합결성이나 최근 재정자금 지원 등도 3~40개 업체로 몰리고 있다. 여기에 최근 대형 벤처캐피털들도 조합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향후 더욱 양극화가 뚜렷해 질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한국, 무한, 우리기술투자, KTB네트워크 등 대형사 임직원들도 조합결성을 위해 국내외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에 분주하다.
또한 벤처기업의 자금회수 창구인 IPO시장에 참가하는 기업도 대부분 투자 금액이 상위권인 벤처캐피털들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무한기술투자 김종민닫기

구주매입 등 단기투자가 더욱 어려워지면서 몇 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 공동으로 투자하는 분위기도 줄어들고 있다. 전반적으로 투자금액이 낮아진것도 컨소시엄 구성이 줄어든 한 요인이다.
벤처캐피털의 재편에 힘을 실어주는 다른 요인은 중기청의 관리감독 강화 방침이다. 지난달 이머징 창투와 2개 부실 창투사가 문을 닫았고 현재 몇 개 업체의 등록 취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창투사들은 법적청산에 의한 부도가 어렵지만 경쟁 논리에 의해 시장에서 도태되는 업체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이러한 업체들을 신속히 정리할 수 있는 감독기능과 M&A의 활성화 제도가 시급하다”고 충고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