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차종별 뿐만 아니라 직업별·성별·연령별·지역별 등으로 보험료를 세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는 차종이나 가입경력, 사고유무에 따라서만 보험료를 자유화하고 있어 우량계약자들이 제대로 우대받지 못하고 불량계약자가 양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가장 먼저 금감원으로부터 승합차의 자보 기본보험료를 10% 인상하는데 대한 인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나머지 손보사들도 삼성화재와 비슷한 수준에서 보험료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손보사들이 승합차의 보험료를 인상한 것은 올 회계연도 들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악화됐기 때문인데, 보험료의 적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수지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승합차는 현재 78만여대로 전체 자동차대수 가운데 6.5%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차종에 대해 기본보험료를 인상할 경우 수보료가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으로는 손보업계의 과당경쟁 등 영업행태도 이번 기회에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타사의 보험계약을 가져오기 위해 보험료 덤핑 경쟁을 벌이는 것은 보험사의 수지를 악화시키고 보험료 인상을 불러와 결국은 소비자에게 피해가 가기 때문이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최근 들어 자동차보험상품이 다양화돼 계약자들이 보험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도 늘고 있지만 차종별로만 보험료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아쉽다”며 “성별·직업별·지역별·연령별 등으로 보험료를 세분화해 손해율이 높은 집단에 대해서는 보험료를 올리고 그렇지 않은 집단은 낮추도록 해야만 보험료 자유화가 제대로 정착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성희 기자 shfr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