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200조에 이르는 국내 연기금 중 아주 일부만이라도 창투사를 통해 벤처기업에 흘러들어 간다면 당장 얼어붙은 벤처업계의 자금시장에 숨통을 틔울 수 있다는 바램이다.
현재 국내 벤처투자의 전체규모가 3조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연기금 투자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한 문제로 다가온다.
중기청 관계자는 “연기금의 벤처투자는 법적으로 하자가 없지만 그동안 관계부처별로 연기금 운영방안이 다르고 의견조율이 어려워 계속 유보되고 있었다”며 “정부가 연기금의 주식투자 의지를 확고히 밝힌 이상 벤처 투자도 조금씩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기청은 나름대로 연기금이 창투사를 통해 투자될 수 있는 구체적인 조항을 수립중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각 해당 부처가 관리하는 연기금의 경우 일부 규모가 큰 연금을 제외하고는 펀드매니저등 전문인력부족과 투자성과에 따른 평가문제 등이 벤처투자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투자에 따른 위험을 감수해야하는 해당부처들로서는 연기금의 벤처투자를 꺼릴 수밖에 없다.
간과할 수 없는 또다른 문제는 연기금 벤처 투자의 투명성 확보다. 최근에는 투자수익 극대화 등의 이유로 직접투자보다는 창투사 조합을 통한 간접투자가 바람직하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조합출자의 경우 중소기업청이 모든 연기금의 벤처투자를 통괄 관리할 수 있어 간접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은 물론 외부 입김에 따른 직접투자를 배제할 수 있어 안정성과 투명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창투사들의 조합운영 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하고 자금이 적절히 배분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올해 창투사 조합에 연기금이 참여한 경우는 무한 기술투자와 TG벤처가 결성한 조합에 300억원 규모를 출자한 것에 불과하다
한편 각 연기금에서도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의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위험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한 벤처캐피털 임원은 “전체적인 자금운영 차원에서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를 병행하는 연기금 운영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한다”며 “연기금이 활발히 투자될경우 곧 벤처투자에 대한 이미지 쇄신 효과도 있어 내년에는 연기금의 벤처투자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