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결성의 어려움을 모두 시장분위기 탓으로 돌리고 있으나 속내는 그렇지 못한 듯하다. 벤처캐피털은 수익율에 대한 부담, 투자의 독립성 결여, 기관이나 개인투자가들의 냉담한 반응에 일단 ‘쉬는 것이 남는 것이다’란 분위기고 조합 출자를 염두에 두고 있는 기관투자가들은 자신들보다 더 전문성을 가진 운영주체, 벤처캐피털을 찾기 어렵다는 푸념이다.
지난달 23개의 조합을 구성해 주로 조합 위주의 투자를 벌이고 있는 무한기술투자는 대부분의 창투사들이 장기적인 자금운용 차원에서 투자를 거의 중단한 상황에서 18개 업체에 90여억원을 투자했다. 물론 시장상황이 불확실한 가운데 리스크를 안고 투자를 펼친 것은 조합 운영규정에서 규정한 투자조합 의무투자 비율도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창업지원법에서는 조합의 경우 결성총액에서 1년에 20%, 2년에 30%, 3년에 50%를 실적유지를 위한 투자의미 비율로 정해놓고 있다.
한편 한국기술투자와 TG벤처의 경우 조합보다는 자기계정의 투자를 선호한다. 이들 업체는 투자패턴에 있어 무한과 확연한 대비를 보여 한국기술투자는 지난달 신규투자는 반도체 생산업체인 코아매딕이라는 업체에 7억원, 추가투자로 3개 업체에 7억원을 투자했고 TG벤처도 지난달 2개 업체에 3억원을 투자하는 데 그쳤다.
TG벤처는 현재 5개의 조합을 운영중이지만 조합자금은 비교적 여유가 없는 편이고 향후에는 조합을 결성하지 않는 다는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정황으로 볼 때 국내 벤처시장도 자금의 안정적인 공급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국처럼 조합을 통한 투자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벤처캐피털의 존재 이유가 자금을 모으고 투자의 전문성을 발휘해 이익을 공유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조합결성이 벤처투자자금의 단순한 수급논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적 물적 인프라가 아직까지 정비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처럼 심사역이 실명을 걸고 몇 백억원의 자금을 일시에 모집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고 엔터테인먼트, 바이오 등의 분야에서는 좀더 특화된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이러한 적극적인 조합결성 전략을 펼쳐야 단순히 해당 벤처캐피털의 이미지나 개인적 친분에 의존하는 행태에서 벗어 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투자가들이 벤처투자에 대한 인식을 정확히 하고 이들이 조합참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벤처캐피털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 은행 벤처투자팀장은 “은행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바이오 부분 투자를 위해 조합참여를 검토하고 있으나 회사별로 특별한 차이점이 없어 결정이 어렵다”고 말해 한번쯤 되짚어 볼 필요가 있을 것같다.
한편 전문가들도 벤처투자의 특정이 고위험, 고수익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개인 및 법인기관 등의 자금을 끌어들여 조합위주의 투자를 펼치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지적해 조합결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