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벤처캐피털업계에 따르면 현재 중기청이 지원할 예정인 조합결성 지원자금은 상반기 1000억원중 미출자 분 230억원을 포함해 총 1230억원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중기청은 이자금을 창투사 조합결성 자금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보통신부와 문화 관광부도 각각 500억원씩을 조합 지원자금으로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창투업계에서는 이들 정부부서에서 지원하는 출자폭이 30%로 현 시장상황에서는 너무 작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중기청에 하반기 조합결성을 정식으로 신청한 업체는 한국IT벤처, 한솔, 호서벤처투자, YB파트너스 등 4개 뿐이고 나머지 24개 업체는 자금 확보가 어려워 신청을 보류한 채 중기청 눈치만 보고 있는 입장이다. 한국IT벤처 윤종연 팀장은 “당초 150억원 규모로 조합을 결성할 예정이었지만 법인기업과 금융기관 등에서 추가 자금 확보가 어려워 점점 규모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해 창투사들의 고충을 대변했다.
또한 정보통신부도 지난달 10개 업체를 선정해 150억원 규모의 조합 결성을 위해 각사별로 5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지만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보통신부 조합 출자자금 지원을 신청한 한 신생창투사 심사역은 “최근 시장상황에서 신생창투사에게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것이 정부 지원에 의한 조합결성인데 이나마 어려워지면 중소형사들은 투자에서 손을 떼야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문화관광부도 문화진흥기금 중 일부를 떼내 창투사 조합 결성자금으로 500억원을 지원할 방침이지만 신청기업이 5개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중기청 관계자는 “조합 출자폭을 40%정도로 늘리는 것을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지만 상위기관과 각 정부부처의 의견교환이 쉽지 않아 계속 늦어지고 있다”며 “빠른 시간안에 결정짓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이달 안에는 결정이 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벤처산업을 담당하는 한 연구원은 “조합출자의 경우 법률개정 없이도 부처간 합의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어 빠른 시간안에 조합출자 폭을 늘려야 얼어붙을 것으로 보이는 벤처시장을 녹일 수 있을 것”이라 지적하면서 “창투사들도 정부지원에 너무 기대지말고 자체적인 자금조달력을 키워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