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따라 대우차는 부도처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우차 노동조합은 7일 오후 2시30분부터 진행된 제3차 노사협의회를 마친 뒤 `노조의 동의서 제출이 자금지원의 전제가 돼서는 안된다`면서 자구계획 동의서를 제출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노조는 `동의서 제출을 놓고 상당한 의견교환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사업구조조정이 1차적이라고 판단했고 현 단계에서의 동의서는 3천500명을 정리해고 하겠다는데 동의하는 것이므로 제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또 회사 정상화를 위해 노사와 채권단, 정부가 참여하는 4자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는 한편 이날 대우차를 최종부도 처리할 경우 8일 비상 간부합동회의를 통해 비상체제로 전환, 강력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우차 경영진은 이에대해 `한때 기대를 걸었으나 채권단과 노조의 입장이 완강한 만큼 결국 법정관리로 가는 수 밖에 없을 것 같다`면서 `일단 법정관리 준비에 착수하겠지만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앞서 대우차 이종대 회장과 김일섭 노조위원장은 이날 오전 7시30분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정부 및 노동계 관계자가 동석한 가운데 비공식 접촉을 가졌다.
대우차는 접촉 직후 `회사를 살리기 위한 자구계획을 놓고 조금씩 양보해 노사 단일안에 의견접근을 봤다`면서 `그러나 내용은 노조원과 채권단과의 협의가 필요한 만큼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지만 노조는 단일안을 만든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노조는 이에대해 `노사가 1차 부도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였다`면서 `구조조정에 노조가 동의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