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은 7일 수도권 중심의 벤처기업 열기를 지방으로 확산해 벤처기업의 지방화 촉진과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벤처기업의 집적을 통한 시너지효과를 거두기 위한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안은 시·도지사로부터 모두 36곳의 지정 요청을 받아, 벤처기업의 집적도, 대학·연구소, 기반시설 구축정도 등 향후 성장가능성, 지역간 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국 20개 지역의 벤처기업 군락지를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지정, 육성키로 한 것것이다. 20개 촉진지구는 지구별 면적조정 등을 거쳐 12월말에 고시될 예정이다. 또한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중 12개 지구에 대해선 2001년 예산이 확정되는 대로 공용장비, 초고속통신망 활용을 위한 장비, 환경오염방지시설 등을 포함한 벤처 인프라 확충을 위해 해당 지자체에 대해 지구별로 20억원∼30억원의 국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국비 지원을 12개 지구에 한정하는 것은 2001년도 정부예산안에 편성된 벤처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이 250억원으로 20개 지역에 분산 지원할 경우 지원의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지방 벤처기업의 성장과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해 예산이 지원되는 12개 촉진지구는 비수도권 위주로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지역은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지정은 하되, 국가 예산지원은 하지 않고 여타 제도적 지원을 실시함으로써 집적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예산지원이 없는 촉진지구에 대해서도 벤처기업 및 지원시설에 대한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 면제, 지방 중소기업육성자금, 병역지정업체 추천, 협동화자금 우선배정 등의 지원이 있을 예정이다.
중소기업청은 앞으로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가 지역산업 발전의 거점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시 촉진지구 우선지원을 강화하고 규제완화 등 촉진지구의 특성에 맞는 추가적인 지원대책을 마련, 시행키로 했다.
집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급적 동일업종 또는 관련 업종 벤처기업의 집적을 유도하며, 벤처기업간 정보교류 및 협력 사업을 촉진하기 위한 벤처기업 모임 결성을 후원하기로 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