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들이 단기적인 유동성 위기나 수익 모델 창출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하나둘씩 도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기업구조조정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난해 6월 구조조정전문회사법에 의해 설립된 CRV들의 투자자금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등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마련과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6일 벤처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CRV들이 결성한 구조조정조합은 총 10개,금액으로는 4248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정부재정 자금 지원으로 올 하반기 결성 예정이었던 15개의 구조조정조합 중 현재까지 결성된 것은4개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반기에 조합을 결성 예정이었던 CRV들은 재정자금 출자 비율을 줄이고 주요 조합원인 대형 금융기관과 법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조합결성을 서두르고 있지만 이또한 쉽지 만은 않은 실정이다.
CRV관계자는 “전문 기술로 구조조정업무에만 전념하는 CRV가 극소수라는 점도 투자활동에 애로를 겪는 원인”이라고 덧 붙였다. 이는 아직까지 사업성격이 투자와 컨설팅업무 등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것이며 전문 인력양성이 시급하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또한 CRV들의 업무 영역 구분을 명확히 하고 최소 설립 자본금을 30억원에서 상향조정해 진입 장벽을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업계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다른 CRV관계자는 “산자부와 금감원의 업무 협력이 되지않고 있는 것과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이 정작 정책을 보완해야 할 당국의 눈을 흐리게 하는 요인”이라며 “CRV를 제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구책 마련과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중소기업청은 이와관련 지난 9월 재경부, 산자부, 정통부, 과기부 등 정부주요부처가 마련한 기업구조조정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벤처기업에 맞고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활성화 대책을 마련 다음달 초 중 발표할 계획인것으로 알려졌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