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 창투사들이 이처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작년 말과 올해 초 불어닥친 인터넷 열풍에 편승한 나머지 과다한 초기투자를 실시, 벤처시장이 침체를 겪자 이들 자금의 회수가 어려워진데 가장 큰 이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자본금의 10% 이상 투자한 업체에 대해서는 1년간 매매를 금지한다는 관련법령도 이들 창투사의 유동성부족에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일부 창투사들은 벤처기업에 대한 직접투자를 거의 중단한 상태. 궁여지책으로 차입이나 조합구성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도 쉽지않은 상황이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탄’이 바닥나 있는 상황이다.
이들 창투사들의 경우 차입을 하려고 해도 기업 신용평가에서 투자 적정등급을 받을만한 상황도 안돼 사실상 차입의 길이 막혀있는 상태며 조합결성의 경우도 최근 관련법에서 참여인원을 49인에서 99인 이하로, 캐피털업체의 납입금을 총 결성금액의 10%에서 5%로 낮추는 등 제한을 완화하기는 했지만 정작 조합에 참여해야 하는 기관투자자와 개인 투자자들이 시장 상황에 회의적이기 때문에 투자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은 조합의 경우 투자자금이 보통 5년 이상 운용되기 때문에 자금의 환금성이 어렵다는 것도 조합 참여를 회피하는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창투사 관계자는 “일부 신생 벤처 캐피털은 최근 투자를 하고 싶어도 자본이 없어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장기간 이러한 자금의 선순환이 막히고 하반기 수익모델의 부재로 도산하는 벤처기업들이 속출한다면 캐피털 업체들에도 위기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유동성 위기가 온다고 해도 그 대상은 극히 소수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들이 투자한 인터넷 관련 벤처기업들의 경우 초기에 유치한 투자자금이 아직 여유가 있는 상태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도산할 가능성은 적고 따라서 창투사들의 경우 당장 자금회수가 안되더라도 일정기간 버틸 여력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다만 투자기업들이 도산할 경우를 대비한 방책을 갖추지 못할 경우 위기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만일 이런 현상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면 최근 부상하고 있는 인수·합병설과 맞물려 벤처캐피털업계의 재편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김상욱 기자 suk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