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상호신용금고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발표된 신용금고 발전방안은 대형사에 유리한데 반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지방 신용금고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일지역 금고간의 다자간 합병이 나타날 가능성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월 결산법인인 신용금고업계는 여수신의 감소세와 증권시장의 침체에 따른 유가증권 투자분의 손실 예상 등으로 적자결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결산실적이 나온 이후 일부 지방 금고들은 서울의 대형 금고의 자회사 또는 피합병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한 지방금고의 관계자는 “이번 발전방안이 지방금고의 자산규모 및 건전성이 전혀 배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형화 입장만을 밝혀 동일 지역 금고간의 합병 가능성은 줄어 들었다”며 “지역 금고간 합병에 도움이 되지 않고, 결산 실적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결국은 서울 대형 금고의 지주 자회사 지점으로 전략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특히 대형 금고가 지주회사로 남고 지역 금고를 지주 자회사화 하면 내년부터 2000만원으로 줄어드는 예금보호 한도를 피할 수 있는 요건을 만들기 때문에 대형 금고들도 합병보다는 지주회사를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영업구역이 철폐되면 예금 보호의 한도 축소로 예금 유출이 예상되는 하반기에 대형 금고는 지방의 여러 지주 자회사를 보유함으로써 거액 고객의 자금을 분산해 예금 보호 한도 문제를 돌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1개 금고에서는 2000만원까지만 예금 보호가 되지만, 5개의 자회사를 보유하면 총 1억원까지 예금 보호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형금고 관계자는 “지방금고와의 합병이 허용됐지만 굳이 지방금고와 합병할 이유는 없다”며 “합병이 아닌 상황에서도 합병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물로 나오는 지방금고가 있으면 자회사로 인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하반기 신용금고업계는 퇴출될 수 밖에 없는 부실금고를 제외하고는 합병보다는 지주회사와 자회사 형태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김성욱 기자 wscorpio@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