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고연합회는 오는 2001년까지 전 금고사의 참여를 목표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대형금고들은 참여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분담금 문제까지 들고 나와 일부 금고와 연합회간에 갈등이 예견되고 있다.
10일 신용금고업계에 따르면 금고연합회에서 통합금융정보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비용을 각 금고에 분담하면서 연합회가 지급준비예탁금의 이자에서 분담금을 일방적으로 공제한 후 지급해 일부 금고가 반발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형금고는 2000년말 이후에나 연합회에서 추진하는 통합금융정보시스템에 가입할 예정이다. 금고연합회는 2차례의 수요조사를 통해 개별금고의 참여의사를 확인하고 전산협상에 적극 협조를 요청했다. 수요조사는 정식 공문도 아니였으며, 비용부담에 대한 언급도 전혀 없었다.
따라서 서울의 대형금고중 한 곳은 연합회측에 비용문제와 탈퇴시 불이익문제 등에 대한 언급이 없어 확인을 요구했으나, 연합회는 “심의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른다”라는 답변만 확인했다.
그러던 중 지난해 초 연합회는 각 금고에 분담금을 내야 한다는 공문을 보냈으며, 지준예탁금 이자부문에서 분담금을 일방적으로 분담했다. 이에 이 대형금고는 일방적인 분담금 지급에 응할 수 없다며 통합금융정보시스템에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공문을 연합회 측에 발송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연합회는 지난달 2차 분담금 지급을 각 금고에 통보함으로써 이 금고를 포함한 일부금고에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금고업계에서는 IMF 이후 퇴출 및 합병되는 금고수가 늘어나고 있어 참여 금고의 일정이 늦춰지는 등 향후 비용부족 현상이 예상돼 일방적으로 시급하게 분담금을 거둬들이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금고업계 관계자는 “연합회에서 비용문제 등에 대해 심의위원회에로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문제”라며 “분담급 지급방법에 있어 절차상 문제가 많아 불만이지만 연합회 차원에서 하고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형금고들은 고객정보의 유출 우려감과 함께 지방은행으로의 전환을 꾀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이미 시스템의 보완 및 도입을 추진하는 등 연합회의 통합정보시스템에 굳이 참여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어 분담금 지급 반발에 동참하는 금고사가 늘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욱 기자 wscorpio@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