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후순위담보채권펀드가 부실채권유동화증권(CBO)중 선순위채권에 비해 우선적 권리를 제한받는 후순위채권과 투기등급채권에 주로 투자해 리스크가 높기 때문에 수익률을 극대화해야 투자를 유인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후순위담보채권펀드의 경우 하이일드펀드와 달리 원금보전이 없고 후순위담보채권이나 투기등급 채권을 편입하는 정크본드펀드”라며 “리스크가 높은만큼 높은 수익률을 제공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공모주우선배정비율을 하이일드펀드보다 두배로 확대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투신사들이 판매하고 있는 하이일드펀드는 공모주의 10%를 우선배정하고 있어 후순위담보채권펀드의 공모주배정비율은 20%가 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공모주 배정비율이 결정되는대로 업계가 상품약관을 마련해 접수하면 상품을 인가해줄 방침이다.
박호식 기자 ho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