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투신사가 보유하고 있는 대우계열사 무보증채권을 성업공사가 인수하는 대신 인수대금을 성업공사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주고 대우채권으로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6일 금감원 및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투신사 신탁재산에 편입된 부실채권을 담보로하는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유동화가 어려운 후순위채를 투신사 신탁재산에 다시 편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 “금감원이 후순위채를 신탁재산에 편입하지 않고 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지만 뾰족한 방법이 없어 신탁재산에 편입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금감원 관계자도 “유동화증권 발행을 위해 빼낸 채권규모만큼 유동화증권을 편입할 수 있도록 금감위규정을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유동화증권 발행에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는 후순위채의 신탁재산 편입이 허용될 경우 투신사들의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투신이 1조원이상의 유동화증권 발행을 추진중인데 이어 대한투신과 일부 투신운용사도 발행을 검토중이다.
유동화증권에 대한 신용보강을 위해서는 투신사들이 발행금액의 일부만큼을 은행에 예치, 선순위채에 대한 지급보증용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편 금감원과 성업공사는 투신사가 보유하고 있는 대우무보증채 매입과 관련 인수대금을 성업공사채권으로 돌려주고 대우채권으로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러나 대우채권의 손실율을 몇%로 할 것인지에 대해 성업공사와 투신간의 입장차이가 커 대우채권 매각작업이 늦어지고 있다.
박호식 기자 ho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