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인터넷뱅킹등 향후 개별 금융기관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시스템들도 오픈을 미루어야 할 형편이다. 일부 금융기관들은 서둘러 신규 시스템을 오픈해 Y2K문제에 대한 또 다른 우려를 낳고있다.
대부분의 금융기관 전산담당자들은 Y2K에 대비하기 위한 금융감독원의 철저한 대비에는 수긍을 하면서도 즉흥적인 정책결정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11월부터 내년 2월까지 모든 금융기관에 대한 신규 전산시스템 개발 금지요청에 대한 금융권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Y2K문제 발생시 제재기준 및 유의사항이 함께 첨부된 권고사항은 신규개발을 금지하는 사실상의 강제사항이기 때문에 금융기관들은 밀레니엄을 맞아 준비해오던 모든 계획들을 포기해야 할 판이다.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완성되지 않은 전산부문을 서둘러 오픈해 Y2K문제에 대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밀레니엄 특수를 맞아 준비해온 것을 모두 포기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금융기관들의 입장이다. 개별 기관들은 일단 오픈 후 추가로 보완작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권 전산관계자들은 2천년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금융감독원의 조치에 수긍하면서도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11월2일 공문발신 후 곧바로 신규 개발을 금지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촉박하다는 것.
일부 금융기관 전산부서에서는 공문확인이 늦어져 권고내용 자체를 몰랐던 사례도 있었다.
금융기관들은 감독당국의 사전언질이 있었다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대비할 수 있었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물론 이전에 자제공문을 발송한 바 있지만 말 그대로 자제요청에 불과했다.
씨티은행등 외국 금융기관들의 경우에도 이 기간동안 신규개발을 중단키로 한 사례가 있지만 사전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결정을 내렸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한편 많은 전산관계자들은 분초를 다투는 치열한 경쟁구도에 놓여있는 국내 금융기관들의 세기말 ‘동면(冬眠)’ 후의 모습이 과연 어떨지에 대한 궁금증을 제기하고 있다.
김춘동 기자 bo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