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준비 및 시행시기가 Y2K문제가 첨예한 이슈로 부상하는 시기와 겹치는데다 세계적으로도 선례가 없어 금융기관과 대기업의 해외거점에서 이중 회계가 불가피해지는 등 제도 시행에 따른 위험과 직간접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점, 충분한 검토없이 시행하는 데 따른 시행착오의 가능성이 크다는 점 등을 들어 시행시기를 늦춰야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새 회계기준 시행은 단순히 파생상품거래를 하는 금융기관과 기업의 회계처리 절차가 복잡해지는 차원을 넘어 우리나라의 기업회계 관행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매매목적의 파생상품만을 시가평가해 장부상에 기재했지만, 앞으로는 위험회피(Hedge)목적의 파생상품도 공정가액을 평가해 자산과 부채항목에 반영해야 하는 등 난해한 내용에 못지않게 파급효과도 엄청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 회계기준을 수용해야하는 당사자들 가운데 준비과정에 참여한 일부 금융기관을 제외하고는 아직 이 문제를 제대로 검토, 준비하고 있는 곳이 거의 없다는 지적이다.
공개초안이 예고돼 인터넷상에 내용이 공개된 지난 3월12일부터 4월말에 이르는 50일의 기간동안에도 금융기관은 물론이고 헷지거래 규모가 상당한 삼성 현대 대우 LG등 재벌 계열사들까지도 관련 당국 또는 회계기준심의위원회에 문의전화조차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6월29일 증선위를 통과해 시행이 확정된지 4개월이 지났지만, 대형 시중은행과 증권사들 대부분이 내년 1월시행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공통된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중대한 회계제도 시행이 1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미온적인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파생상품, 회계, 전산등이 모두 맞물려 준비돼야 할 사안이어서 전문성과 이해도가 떨어지는데다 세계적으로 선례가 없어 벤치마킹을 할 대상조차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성화용 기자 y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