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문제가 불거진 이후 투신권의 대량환매 사태가 발생하자 투신권에는 금감위가 `시가평가가 이뤄지지 못한데 원인이 있다`고 판단, 시가평가 일정을 앞당겨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게 나오고 있다. 이 소문은 심지어 "이번주 일요일에 전격실시된다더라"로 까지 구체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가평가 조기실시설은 시가평가가 실시될 경우 대우문제등이 발생하면 투자자들은 부실이 반영된 수익률로 환매를 할 수 밖에 없어 투신사나 판매사가 지급불능에 빠지지 않고 부실을 만회하기 위해 환매를 억제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는 설명이 따라 붙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내년 7월 전면실시를 연기하되 실시범위를 점차 확대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다는 얘기가 부각되고 있다. 이는 지금처럼 채권금리가 금등한 상황에서 전격 실시될 경우 대부분 투신사 펀드가 평가손 상태여서 또다시 대량환매사태로 이어져 자본시장에 극심한 혼란이 야기될 것이 명약관화하다는 인식에 근거한다. 따라서 채권금리가 6~7%대로 떨어져야 전면실시가 가능해 채권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내년 7월 실시일정도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 전면실시 일정은 탄력적으로 결정하되 이미 시가평가가 적용되는 신규펀드에 포트폴리오상 채권만기가 돌아오는 펀드에 대해서 시가평가를 적용하는등 대상을 점차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금감원 실무선에서는 시가평가 범위확대에 대해서도 얘기가 오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호식 기자 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