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번 환매대책이 증권사와 투신사로 하여금 16조원에 달하는 대우채권에 대한 부실위험과 환매과정에서의 자금부담을 지도록 한데 대해서는 부담스러워하는 모습이다. 또한 이번 사태가 진정된다 하더라도 자금이 투신권으로 재유치 되지 않아 영업이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자금유입이 된다하더라도 환매과정에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대우채권 과다편입등 부실운용이 드러난 투신사들은 인지도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돼 투신권의 구조조정까지 예상되고 있다.
이번 환매사태로 인해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곳은 증권사. 지난해 고금리 상황을 활용, 상당규모의 수익증권을 판매했던 증권사들은 환매에 응한 뒤 투신사로부터 해지를 제때 받지 못해 미매각수익증권을 떠안아 차입이자 부담을 지고 있고 개인이나 법인투자자의 환매분에 대한 대우채권을 내년 7월1일까지는 떠안아야 하기때문에 부실채권 리스크를 지게 됐다. 대우 구조조정이 차질을 빚을 경우 증권사들은 그동안 수익증권 판매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상당부분 내놓아야 하는 상황도 가능하다. 최악의 경우 그 부담은 대형증권사의 경우 수천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투신사의 경우 향후 영업위축 가능성이 가장 큰 부담이다. 금감위가 대우 유가증권에 대해 강제로 만기연장을 시켜왔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23조원에 달하는 대우채권을 편입한 투신사들로서는 리스크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투자부적격 등급인 대우 유가증권을 초단기 상품인 MMF에 편입하고 동일계열 유가증권 편입한도를 위반한 사례도 다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환매사태를 계기로 투신권의 판도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많다. 고금리 상황과 타 금융기관의 부실화로 지난해부터 급성장했던 신설투신사들은 이번 대우사태로 이미지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특히 대우 유가증권의 과다편입이 이러한 급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수익률 과다경쟁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수탁고가 급속히 확대된 일부 신설투신사들의 영업이 크게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이번 환매대책으로 인해 채권시가평가가 사실상 앞당겨 시행된다는 점도 투신사들의 저금운용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투신사에서 환매된 자금이 재유입된다하더라도 대우나 부실채권이 있는 기존펀드에 유입될 가능성이 적고 새로운 펀드를 설정해야하는데, 신설펀드는 무조건 시가평가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투신사들은 기존 추가형펀드에 신규자금을 받는 형태로 시가평가를 피해왔다.
박호식 기자 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