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서울투신운용에 대한 악성루머와 관련 선물매도 세력이 주가하락을 유도, 반사이익을 챙기려는 속셈으로 루머를 퍼뜨린 것으로 보고 금감원 자체 조직과 당사자인 서울투신운용 및 대우증권등을 동원, 루머의 근원지를 찾고 있다.
부도설은 서울투신운용이 대우그룹 관계사로, 2조8천8백억원 규모의 그룹계열사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다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 서울투신운용은 그동안 그룹 계열사 지원을 위해 신탁재산에서 유가증권을 매입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투신권 전체 대우그룹 유가증권의 신택재산 편입 규모가 총 21조8천8백88억원(서울투신운용10%)이고 최근 2조6천억원 가량을 추가로 매입한 점을 감안하면 대우그룹 사태로 인한 환매우려는 서울투신운용만의 문제가 아니다. 또한 대우증권을 비롯 한진증권등 서울투신운용의 상품을 판매한 증권사들도 환매에 대한 1차 책임이 있어 마찬가지 상황이다. 따라서 대우그룹 문제가 확실히 해결되기 전까지 반사이익을 노린 악성루머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우려다.
이에 따라 서울투신운용이나 대우증권 내부에서는 그룹과의 연결고리를 끊는 것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그룹계열사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는 한 환매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이같은 의견이 여러 통로로 금감위원장에게 전해지고 있고 금감위도 이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급격한 자금이탈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대우그룹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적어도 서울투신운용이나 대우증권이 영업에 상당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금감위는 이 문제를 해결할 마땅한 대안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환매우려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대우그룹 유가증권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이나 정부 또는 정부투자기관의 지급보증이지만 서울투신운용이나 대우증권등 특정회사를 지원하기도 어렵고 업계 전체를 지원하는데도 걸림돌이 많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박호식 기자 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