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한국투신, 대한투신등 투신사들은 회사채 보증기관인 서울보증보험의 경영정상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토에 들어갔지만 서울보증보험의 보증규모가 막대한 삼성자동차 문제가 불거지면서 판단이 어려운 상황이다. 투신사 관계자는 "서울보증보험이 보증한 채권을 대규모 보유하고 있는 투신사로서는 서울보증보험의 경영정상화 여부가 중요하다"며 "예금보험공사가 1조원대의 자금을 서울보증보험 증자에 투입하는등 서울보증보험의 경영정상화 방안이 마련됐으나 최근 삼성자동차 문제등이 불거지면서 서울보증보험의 미래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투신사가 차환발행에 대해 합의하지 않을 경우 서울보증보험은 해당 회사채에 대한 원금을 지급해야 한다. 그러나 서울보증보험의 부실화로 원금지급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돼 투신사들로서는 무조건 상환을 요구하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박호식 기자 ho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