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금융기관 퇴직자들이 소규모 뷰띠크를 설립해 채권중개에 나서면서 이같은 현상이 급증했다"며 "주요 채권매수기관인 투신사들이 자기회사에서 퇴직한 임직원이 운영하는 뷰띠크를 통해 채권을 중개해 달라는 요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증권사들이 채권중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증권사들은 따라서 인수한 채권을 판매해주는 대가로 주간사 수수료의 70%까지 뷰띠크에 떼어주기도 하고 뷰띠크들이 금리차익을 내면서 투신사에 채권을 넘기기도 한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에서는 채권시장 질서가 혼탁해지는데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자격이 없는 뷰띠크들이 회사채 발행사와 직접 접촉해 채권을 인수하면서 증권사를 주간사로 들러리를 세우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투신사들이 신용등급이 낮아 스프레드가 애매한 채권을 발행금리보다 낮게 인수, 결국 투신사 투자자들이 피해를 결과를 낳고 있다.
이에대해 투신사 관계자는 "일부 투신사들이 퇴직직원이 운영하는 뷰띠크를 통해 채권을 인수한 것은 사실이지만 규모가 극히 미미하다"고 말했다.
박호식 기자 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