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미 경제 고위직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재닛 옐런이다.
미 역사상 최초의 여성 재무장관일 뿐만 아니라,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과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재무장관을 모두 역임하게 된 최초의 인물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정책실장과 한국은행 총재, 경제 부총리를 동시에 거치는 셈이다. 뉴욕 출신의 옐런은 브라운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정통 경제학자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등으로 활동하다가 빌 클린턴 행정부 때 제18대 경제자문위원장을 맡아 공직에 발을 들였다.
지난 2014년 제15대 연준 의장에 취임했으나, 도널드 트럼프닫기

옐런이 재무장관으로 발탁됐다는 소식에 금융시장은 즉각 환호했다. 그가 인준 청문회에서 과감한 재정부양 필요성을 역설하자 뉴욕주가는 사흘 만에 반등했다.
연준 내 대표적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로 분류되던 옐런은 물가보다 고용을 중시한다.
연준이 2015년부터 긴축으로 돌아서자 시장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금리인상 충격을 선제적으로 줄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옐런 재임 기간 주가는 25% 이상 오르고 실업률은 6% 후반에서 4% 초반으로 내려왔다.
그런 옐런이라면 재무장관으로서도 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을 유연한 정책을 펼칠 것으로 시장이 기대한 것이다.
무엇보다 제롬 파월 현 연준 의장과 손발을 맞춰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리라는 기대가 컸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도 이미 대대적 재정확대 공약을 내걸면서 적극적인 정책을 공언했다.
이에 옐런 뿐만 아니라 파월도 경기부양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발언을 한 상태다. 바이든 정부 출범 뒤 이들이 적극적 정책 뒷받침에 나설 수 있는 것이다.
파월 의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노동시장 회복 필요성을 거듭 역설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제로(0) 금리를 유지하는 한편, 재정부양책이 시급하다는 견해를 계속 강조해왔다.
최근 한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저임금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을 만큼 경제가 회복되려면 참을성 있게 순응적 통화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동안 연준이 금리를 올리거나, 테이퍼링(채권매입 축소)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 6%대로 치솟은 실업률을 낮추는 일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팬데믹발 경제위기 앞에서 미 경제의 두 핵심 기관이 보여줄 협력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해진 셈이다.
연준 의장-부의장 관계였다가 재무장관-연준 의장으로 다시 만난 두 사람. 이들은 연준 의장 전임자와 후임자라는 관계 외에 개인적 인연도 깊다.
옐런이 지난 2018년 연준을 떠날 때 파월 의장은 자택에서 환송연을 열어주었다. 또한 연준을 떠난 뒤에도 옐런에게 통화정책 관련 조언을 계속 구했다고 한다.
경제적 이해력과 시장과의 소통능력을 동시에 갖춘 옐런, 그리고 연준 정책을 큰 부침 없이 잘 유지해온 파월 의장.
연준 의장 재임 당시 비둘기파였던 옐런, 그리고 팬데믹 위기 속 적극적 재정정책을 주문하고 있는 파월.
경제정책 쌍두마차인 두 사람이 어떤 정책조합을 선보일 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이를테면 추가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시중금리 상승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연준이 장기국채 매입을 늘리는 식이다.
두 사람이 함께 꾸려갈 안정적 재정-통화정책이 기대된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