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이처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악용한 스마트폰 스미싱으로부터 고객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스미싱(SMS와 Phishing의 합성어)은 문자나 메신저 메시지로 URL을 발송해 상대방이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악성 앱이 설치돼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광고 페이지로 접속을 유도해 피해를 끼치는 온라인 사기수법이다.
신종 코로나 공포를 이용한 대표적인 스미싱 문구는 '국내 우한 폐렴 감염자 및 접촉자 신분정보 확인', '우한 폐렴으로 인한 택배배송 지연' 등으로 알려졌다.
KT는 지난 1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악용한 스미싱 공격을 예상하고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지난 10일까지 2주간 5만건 이상의 악성 URL 접속을 차단할 수 있었다.
박종호 KT INS본부장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악용한 스미싱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며 "스미싱은 단순한 클릭만으로 엄청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확인되지 않은 문자의 URL은 결코 클릭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한편 KT는 2013년부터 스미싱 대응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실시간 대응을 통해 연간 1천만건 이상의 스미싱 공격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고객이 스미싱 문자를 수신해 URL을 클릭한 경우에도 스미싱 예방안내 팝업창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마련하는 등 피해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은비 기자 goodra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