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완號 우리은행, 금융사고·민원 감소 뚜렷…내부통제 강화 결실 [책무구조도 비포&애프터]](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91407550404559dd55077bc221924192147.jpg&nmt=18)


정진완 행장은 지난해 취임 당시부터 “형식적이 아닌 '진짜 내부통제'가 돼야 신뢰가 두터워질 수 있다”는 취임 일성을 전할 정도로 우리은행의 사고 재발 방지 및 신뢰회복을 강조하고 나섰다.
책무구조도 시행 전후로 민원건수가 꾸준히 우하향하며 소비자보호가 강화되고 있고, 금융사고 발생 건수도 줄어드는 등 강화된 내부통제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우리은행의 준법감시인 직무는 전재화 부행장이 역임하고 있다. 1968년생인 전 부행장은 그룹 내에서 손꼽히는 내부통제 전문가로 꼽힌다. 우리금융지주에서 준법지원부장 및 준법감시인 등을 지내다 역량을 인정받아 지난해 7월 우리은행 준법감시인 부행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대규모 금융사고 발생으로 홍역을 치렀다. 우리금융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은행에 있어 내부통제 강화와 신뢰회복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고, 그룹 전체의 내부통제 시스템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전 부행장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태다.
우리은행의 준법감시 지원조직은 타행과 비교해도 인원이 많고 역할도 막중하게 주어져 있다. 책무구조도 관련 정책 집행을 총괄하는 준법경영실에만 91명(상반기 기준)이 배치돼있고, 법무실, 자금세탁방지센터, 정보보호부 등을 포함한 전체 인원은 200여명이 넘는다. 이들은 내부통제 정책 수립 및 기획 입안부터 정보보호 전략, 부서 법무 검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 6월 발생한 우리소다라은행 금융사고에서 문제가 된 업체는 현지 중견 수출기업으로, 우리은행은 국외 점포와 해외 법인의 '글로벌 내부통제 플랫폼'을 통한 데이터 산정 기준 검증 도중 이상거래 징후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사고가 발생하긴 했으나, 내부통제 플랫폼이 동작한 결과 빠르게 사고를 발견할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업체는 대출 상환 재원과 일정을 제시하는 등 상환 의지가 확고하다는 입장을 은행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례를 제외하면 우리은행은 올해 상반기 10억원 이상의 금융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발생한 사고 대다수도 외부에 의한 사기로 발생했다.
우리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시나리오 기반 부정거래 검사 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을 도입한 은행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 금융사고 패턴을 분석해 연소득 허위 입력, 자금용도 증빙자료 위조, 고객 몰래 예금 해지 등 다양한 사고 유형별 행동 패턴 시나리오를 구축했다. 이상거래 발생 시 실시간으로 담당 검사역에게 알림을 보내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에 더해 내부통제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니터링 시각화 대시보드 개발, AI 기반 통합 내부통제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금융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발생하더라도 적기에 적발할 수 있도록 해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하나은행이 금융감독당국으로부터 받은 제재는 1건으로, 6월 금융위원회로부터 ‘고액현금거래보고의무 위반·고객확인의무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이 내려졌다. 우리은행은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조치를 내렸다.
특히 작년 3분기 23건이던 대외민원이 올해 2분기 16건으로 눈에 띄게 줄었다. 특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던 여신관련 민원이 29건에서 19건으로 줄었고, 외환업무 관련 민원도 6건에서 2건으로 줄었다.
지난 19일, 우리금융은 임종룡 회장이 직접 주재한 ‘그룹 금융소비자보호 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 결과 금융당국의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모범관행 이행을 위해 소비자보호 총괄책임자(CCO) 임면 시 이사회 결의를 필수로 하고, 임기는 최소한 2년을 보장하기로 했다. 또한 CCO에게 KPI 설계 등 소비자보호 핵심사안에 대해서는 배타적 사전합의권을 보장하며, 소비자보호부서의 인력을 적극적으로 충원하여 적정인력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임종룡 회장은 “각 자회사의 CEO와 CCO가 모범관행 이행을 직접 챙겨 신속히 체계를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보이스피싱 등 민생 금융범죄 예방을 위한 ‘금융사기예방 전담부서’를 은행권에서는 처음으로 이달 내 신설하기로 했다. 신설될 부서는 △금융사기 관련 기획과 정책 △금융사기 사전예방 및 대응 △FDS 고도화 등 3개팀(21명)으로 구성될 예정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및 대응과 AI 활용 이상거래 탐지 고도화를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분쟁민원 예방 및 대응을 집중 전담하는 부서 개편을 통해 소비자보호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오픈뱅킹이 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금이체 거래를 차단할 수 있는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도 신속히 구축하고, 적극적인 고객 안내와 임직원 대상 금융범죄 예방교육을 강화하는 등 전 그룹사가 민생 금융범죄 예방에 필요한 인적, 물적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임종룡 회장은 회의 종료 후 전 그룹사 임직원에게 CEO레터를 발송하며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모범관행의 신속한 이행 △보이스피싱 등 민생 금융범죄 예방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예방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및 불건전영업행위 예방에 역량을 집중할 것을 당부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