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22일 여의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해서 향후 물가 상승률 전망을 제시했다.
지난 7월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 근원 물가 상승률은 3.3%였다.
이 총재는 "8~9월 물가 상승률 다시 3%대가 될 가능성이 있고, 그 뒤부터 천천히 떨어져 내년 하반기쯤 2% 중반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한은의 물가 안정 성과가 좋다고 언급키도 했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에) 해외 요인이 많기 때문에 단시간에 잡을 수는 없지만, 다른 나라에 비교해 봤을때 높아진 물가를 빠른 시간 내에 3% 밑으로 내린 나라는 선진국 중 우리가 유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실제 서민들이 고물가 고통을 겪고 있어 긴장해 달라는 말에 이 총재는 "잘 알겠다"고 답했다.
오는 24일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방향에 대한 질의에 이 총재는 "구체적인 방향을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미국 잭슨홀 미팅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 발언, 9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예상, 또 지난 회의와 차이로 중국 요인, 그리고 가계부채 등 다양하게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단기준 최대 2%p인 한미 금리 역전폭이 지목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한미 금리 격차보다 9월 연준의 금리가 어떻게 될 것인지 방향성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